시사/2024
[인터뷰 제4공장] 윤석열 내란 사태의 언론 보도 변화 양상과 검찰의 의도
지식 전달자 다알
2024. 12. 31. 18:35
▷ 박성제 / 전 MBC 사장
▷ 신미희 /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
▷ 홍사훈 / 기자 · 홍사훈쇼 진행자
12.3 내란 사태를 다루는 한국 언론들의 보도 행태
1. 초기 보도: 정의와 충격
- 초기 반응: 내란 사태 초기, 대부분의 언론은 비상계엄 선포를 "위헌적 행위"로 규정하며 반대 입장을 보임.
- 정의로운 목소리: 비상계엄과 국회 탄핵 가결 이전에는 내란의 위헌성과 민주주의 수호를 강조하는 보도를 중심으로 다룸.
2. 국회 탄핵 소추 이후의 변화
- 보도 논조 변화: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후 일부 보수 언론들이 논조를 급격히 변경.
- 탄핵과 조기 대선 프레임: 탄핵이 야당 대표 이재명의 정치적 도구라는 식으로 보도.
- 불안 자극: "정권이 야당에게 넘어간다"는 불안감을 조장하는 보도 확산.
검찰발 보도와 김용현 측 기자회견 받아쓰기의 이유
1. 검찰발 보도의 특성
- 검찰과 언론의 관계: 출입처 제도를 기반으로 한 긴밀한 관계로 인해, 검찰이 제공한 자료를 언론이 그대로 받아쓰는 구조.
- 보도량의 차이:
- 경향신문, 한겨레 등 진보 언론이 사건을 깊이 다루는 동안, 조선일보 등 보수 언론은 보도량을 대폭 줄임.
- 조선일보는 검찰발 보도조차 소극적으로 다루며 내란 세력 옹호로 선회.
2. 김용현 측 기자회견
- 언론의 받아쓰기 문제:
- 민언련에 따르면, 내란 세력 김용현 측 변호인의 기자회견을 그대로 받아쓴 기사가 80여 건에 달함.
- 비판 없이 내란범 측 주장을 대변하는 언론의 태도는 내란 옹호 및 대중 혼란 조장으로 이어짐.
‘대행의 대행’, ‘줄탄핵’, ‘경제 위기’ 프레임의 의도
1. 프레임의 구성과 의도
- ‘대행의 대행’ 프레임:
- 조선일보가 한덕수 총리 탄핵 이후 만들어낸 용어로, 탄핵이 국가 운영을 무력화시켰다는 메시지 전달.
- 법적 근거가 없는 용어이나, 탄핵에 책임을 돌리고 경제 위기 프레임으로 연결하려는 의도.
- ‘줄탄핵’과 ‘경제 위기’ 프레임:
- 탄핵을 여야 정쟁으로 몰아가며 "탄핵이 경제 위기를 초래했다"는 프레임을 조성.
- 국민의 불안감을 부추기고 탄핵을 정치적 공세로 치부하려는 전략.
2. 경제적 혼란 강조
- 제주항공 참사 사례:
- 보수 언론은 경제 위기의 예시로 제주항공 참사 보도를 이용하며 "컨트롤타워 부재"를 강조.
- 탄핵과 경제 위기를 연결해 민주당과 야당에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
3. 여론 조작 및 메시지 일관성
- 의도된 키워드 사용:
- 댓글과 기사 제목에서 "대행의 대행", "줄탄핵", "여야 정쟁" 등 특정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여론을 유도.
- 중립을 가장한 왜곡:
- 균형과 객관성을 명분으로 사실을 왜곡하거나 특정 프레임을 강화.
언론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 언론의 역할과 한계
- 문제점:
- 검찰발 보도와 기자회견 받아쓰기는 언론의 독립성과 비판성을 약화.
- "기계적 중립"을 명분으로 내란 옹호적 발언을 동등하게 다루는 태도.
- 결과:
- 내란 세력에 대한 대중의 비판 의식을 약화시키고 혼란을 초래.
2. 개선 방향
- 비판적 시각 유지:
- 검찰발 보도와 내란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맥락과 의도를 분석해 보도.
- 출입처 제도 개혁:
- 검찰과 언론의 밀착 관계를 개선하고 언론 독립성을 확보.
- 프레임 분석과 균형 보도:
- "대행의 대행", "줄탄핵" 등 의도된 프레임을 정확히 파악하고 사실 관계를 명확히 전달.
결론
12.3 내란 사태를 다룬 한국 언론은 초기에는 충격과 정의를 강조했으나, 탄핵 소추 이후 일부 보수 언론이 정치적 프레임을 통해 내란 세력을 옹호하는 쪽으로 논조를 변경했습니다. 검찰발 보도와 기자회견 받아쓰기는 언론의 독립성을 약화시키며, 경제 위기를 강조하는 프레임은 탄핵의 정당성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언론은 비판적이고 독립적인 시각으로 사건을 다뤄야 하며, 검찰과의 관계를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