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터뷰 제3공장]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과의 전화 인터뷰 정리

시사/2024

by 지식 전달자 다알 2024. 12. 27. 13:51

본문

1. 청주공항 팀의 복귀와 무기 반납

  • 청주공항 팀 복귀 과정:
    • 청주공항 폭파 임무를 맡았던 블랙요원 팀은 새벽 4시 복귀 명령을 받고 지정된 장소에서 무기를 반납.
    • 이광희 의원의 제보를 통해 이들의 임무 중지가 이루어짐.
    • 복귀한 팀원들은 국가 임무를 수행한다는 자부심을 가진 인물들이지만, 내란에 해당하는 테러성 임무로 인해 혼란과 갈등을 겪은 것으로 보임.
  • 제보와 메시지의 역할:
    • 김병주, 박선원 의원이 방송과 법사위를 통해 전달한 메시지가 이들의 결정을 바꾸는 데 영향을 줌.
    • 김 의원은 “임무 중지와 무기 반납의 결정은 이들이 국가와 국민에 대한 의무감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분석.

2. 성주 사드기지와 대구공항 팀의 미복귀

  • 미복귀 팀들의 현황:
    • 성주 사드기지와 대구공항 팀은 현재까지 복귀 여부가 확인되지 않음.
    • 추가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팀들이 존재할 가능성도 큼.
    • 미복귀 팀들은 무기를 여전히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음.
  • 구조적 문제:
    • 정보사 블랙요원 조직의 특성상, 민간인으로 은퇴한 요원(Old Boys)과 여러 첩보망을 통해 운영.
    • 한 명의 블랙요원이 약 세 개의 첩보망을 운영하며, 탈북자, 은퇴 요원 등과 협력하는 네트워크로 구성.
    • 하부 첩보망의 비공개성과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해 상황 파악이 어려움.

3. 김용현 측의 기자회견과 숨겨진 메시지 가능성

  • 김용현 측의 발표 내용:
    •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변호인단이 발표한 내용이 일종의 암호화된 메시지일 가능성.
    • 블랙요원 명령 체계에서는 직속 명령이 끊기면 대중 매체나 특정 메시지를 통한 지시를 활용하기도 함.
  • 역사적 사례와 우려:
    • 과거 라디오나 대중 매체를 통해 쿠데타를 지시했던 사례를 언급.
    • 김용현 측의 기자회견이 유사한 목적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4. 한덕수 총리의 발언과 비상사태 가능성

  • 한덕수 총리의 발언 내용:
    • “비상사태가 아닌 한 권한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발언이 사실상 비상사태 선포와 계엄령 발동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됨.
    • 김 의원: “비상사태란 전시나 사변 같은 극단적 상황에서만 가능하지만, 이를 자의적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 위험성 경고:
    • 비상사태 발언은 내란이나 군사적 혼란을 정당화하려는 신호로 보임.
    • 김 의원은 이를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간주하며 국민적 경각심을 촉구.

5. 내란 진압과 체포의 필요성

  • 잔존 세력의 위험:
    • 복귀하지 않은 블랙요원 팀들과 잠재적 공작 팀들이 여전히 활동 중일 가능성.
    • 잔존 세력은 추가적인 무기 전달 및 공작을 통해 국가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
  • 내란 수괴들의 체포 필요성:
    • 김병주 의원: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총리가 감옥에 가지 않는 한, 내란 세력은 계속 활동할 것.”
    • 탄핵 후 즉각 체포 및 강력한 수사를 통해 내란 세력을 진압해야 한다고 강조.

6. 국민적 불안과 해결 방안

  • 국민들의 불안:
    • 김병주 의원은 “지금 국민들은 내란과 계엄 가능성 때문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고 언급.
    • 블랙요원 팀들의 미복귀와 국가 혼란 가능성은 국민들에게 지속적인 불안감을 주고 있음.
  • 내란 진압의 중요성:
    • 내란 진압은 국가 정상화와 경제 안정의 유일한 길.
    • 김 의원은 “청주공항 팀의 복귀 사례처럼, 다른 팀들도 복귀하도록 국민과 제보자들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

7. 결론

  • 복귀와 잔존 세력 문제:
    • 청주공항 팀의 복귀는 긍정적 사례지만, 성주 사드기지와 대구공항 팀, 나아가 추가 팀들의 존재 가능성은 여전히 국가 안보를 위협.
    • 민간 첩보망 구조와 은폐성으로 인해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음.
  • 국가적 대응과 협력 필요:
    • 내란 진압을 위한 강력한 법적, 정치적 조치가 필요.
    • 김 의원은 국민과 제보자들의 협조를 요청하며, 블랙요원들의 복귀를 촉진하고 내란 세력을 제압하는 데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