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터뷰 제2공장] 한덕수 총리 탄핵 사태와 관련 논란 정리

시사/2024

by 지식 전달자 다알 2024. 12. 27. 13:48

본문

1. 한덕수 총리의 ‘출근 강행’ 가능성

  • 탄핵 직후 직무 정지의 법적 근거:
    • 헌법상 탄핵안이 가결되면 즉시 직무가 정지됨.
    • 박주민 의원: “직무 정지 상태에서 출근한 사례는 없지만, 한덕수는 출근을 강행할 가능성이 높다.”
    • 신장식 의원: “출근 강행은 명백히 주거침입, 업무방해, 직권남용에 해당하며, 즉각적인 체포 조치가 필요하다.”
  • 출근 강행의 의미와 대응책:
    • 두 의원은 한덕수가 직무 정지 상태에서 출근한다면, 이를 물리적, 법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
    • 신 의원: “출근 강행은 단순히 경비 문제를 넘어, 수사기관과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 박 의원: “출근 시도는 불법이며, 국회와 법적 수단을 통해 이를 막아야 한다.”

2. ‘200석 논란’과 법적 근거

  • 탄핵 가결 요건:
    • 헌법상 151석 이상 찬성 시 탄핵안이 가결됨.
    • 박주민 의원: “200석 이상이라는 주장은 헌법적 근거가 부족하다. 이는 논란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려는 시도다.”
    • 신장식 의원: “200석 논란은 전형적인 지연 전술이며, 151석 가결은 헌법과 학계 주석서에서도 명확히 확인된다.”
  • 여당의 주장과 야당의 반박:
    • 여당과 일부 언론은 200석 이상 찬성을 요구하며 쟁점화 시도.
    • 야당은 이를 탄핵 절차를 지연시키려는 의도로 비판.

3. 김용현 전 장관의 ‘계엄 건의’ 보고

  • 계엄 건의의 의미:
    •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한덕수 총리에게 계엄을 건의한 사실이 밝혀짐.
    • 신장식 의원: “계엄 건의는 단순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내란 계획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내란죄로 충분히 수사해야 한다.”
    • 박주민 의원: “김용현과 한덕수의 공모 관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내란 동조 행위로 해석 가능하다.”
  • 윤석열 정권의 방탄 전략:
    • 박 의원: “김용현과 한덕수는 탄핵안 가결 이후에도 내란 책임을 회피하려는 방탄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 신 의원: “계엄 건의는 내란죄 혐의의 핵심 증거다. 이들의 행보는 법적 책임을 피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4. 헌법재판관 임명 문제

  • 한덕수 총리의 임명 거부:
    • 한덕수는 “여야 합의 없이는 헌법재판관 임명을 보류하겠다”는 입장.
    • 박주민 의원: “임명 보류는 직무 정지 상태를 악용한 전형적인 권한 남용이다.”
    • 신장식 의원: “임명을 거부하는 것은 탄핵 절차를 지연시키려는 의도다. 헌재가 탄핵 심판을 신속히 진행하기 위해서라도 임명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 야당의 대응:
    • 즉각적인 법적 대응 및 정치적 압박 필요.
    • 박 의원: “임명 거부는 헌법에 어긋나는 행동이며, 민주당은 이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5. 한덕수 총리의 내란죄 의혹

  • 내란죄 혐의:
    • 한덕수는 내란죄 피의자로 조사받은 상태.
    • 신장식 의원: “내란죄는 국가의 근본을 위협하는 중범죄로, 한덕수는 즉시 체포되어야 한다.”
    • 박주민 의원: “한덕수는 윤석열과 공모해 헌법을 위반했다. 이는 내란죄의 핵심 증거다.”
  • 수사의 중요성:
    • 두 의원은 내란죄 혐의에 대해 철저한 수사와 법적 처벌을 요구.

6. 결론 및 전망

  • 한덕수 총리와 윤석열 정권의 방탄 전략:
    • 두 의원은 한덕수의 출근 강행과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를 국정농단이자 내란 동조 행위로 간주.
    • 야당은 모든 법적, 정치적 수단을 동원해 이를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
  • 야당의 역할과 국민적 지지:
    • 신장식 의원: “한덕수의 무모함은 오히려 국민들에게 정권의 본질을 알릴 기회가 될 수 있다. 체포와 구속으로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 박주민 의원: “탄핵 절차는 헌법과 법치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 국민적 지지가 필요하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