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터뷰 제4공장] 제주항공 사고 원인 분석

시사/2024

by 지식 전달자 다알 2024. 12. 30. 20:47

본문

1. 179명 사망, 2명 생존… 제주항공 참사는 어떻게 발생했나

사고 개요

  • 사고는 무안 국제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던 제주항공 소속 항공기에서 발생했습니다.
  • 179명 사망, **2명 생존(승무원)**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 사고는 조류 충돌, 랜딩 기어 오작동, 동체 착륙 시도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사고의 주요 과정

  1. 조류 충돌
    • 비행 중 조류 떼와의 충돌로 인해 엔진 한쪽이 고장 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조류 충돌은 엔진에 큰 손상을 주며, 비행 제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랜딩 기어 오작동
    • 랜딩 기어가 내려오지 않았으며, 자동·수동 방식 모두 작동하지 않은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 랜딩 기어는 3중 안전 설계가 되어 있어 조류 충돌로 작동이 불가능했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 이는 기계적 결함 혹은 조종사의 착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긴급 동체 착륙 시도
    • 관제탑의 제안을 받아들여 활주로를 변경하고 동체 착륙을 시도했지만, 착륙 준비 부족으로 사고로 이어졌습니다.
    • 비상 착륙 시 동체 착륙의 판단은 최후의 수단이며, 착륙 당시 활주로 조건이 불리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왜 피해가 컸는가?

  • 동체 착륙 과정에서 발생한 강한 충격과 함께 엔진 폭발로 인해 연쇄적인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 공항 소방대는 사고에 빠르게 대응했지만, 활주로 변경 등으로 초기 대응이 늦어졌습니다.

2. ‘새 떼 충돌’ 때문? 전문가가 진단하는 사고 원인은

조류 충돌의 영향

  • 사고 초기, 조류 떼와의 충돌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 조류 충돌은 엔진 고장을 일으킬 수 있지만, 랜딩 기어 작동 불능 상태와의 연관성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랜딩 기어 오작동

  • 랜딩 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이유는 여전히 미궁 속에 있습니다.
  • 랜딩 기어는 자동 시스템, 수동 기계 시스템, 비상 장치까지 총 3단계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세 가지 방식 모두 실패했다는 점에서 중대한 기계적 결함 혹은 조종사 착각의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조종사의 판단과 관제탑의 역할

  • 관제탑은 착륙 지점을 조정했지만, 180도 방향 전환으로 인한 혼란이 있었습니다.
  • 조종사들은 랜딩 기어가 작동하지 않자 즉각 동체 착륙을 선택했지만, 준비 부족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기타 원인

  • 동체 착륙 과정에서 발생한 충격으로 유압 시스템 전체가 손상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착륙 직전에 비상 경고등이 무시되었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언급됩니다.

3. 폭발음 ‘쾅쾅쾅’… 동체 착륙이 큰 화재로 번진 이유는

동체 착륙과 폭발

  • 동체 착륙 시, 활주로와의 마찰로 인해 강한 충격과 불꽃이 발생하며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항공기 날개 내부에는 항공유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어, 불꽃이 발생하면 대규모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왜 화재가 통제되지 않았는가?

  1. 초기 화재 진압 실패
    • 공항 소방대는 활주로 끝부분에 분산 배치되어 있었지만, 활주로 변경으로 인해 초기 대응이 늦어졌습니다.
    • 이는 불길이 급격히 번지게 만든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2. 동체 손상과 연료 유출
    • 동체 착륙 충격으로 인해 항공기 날개와 연료 탱크가 심각한 손상을 입었으며, 연료가 대량으로 유출되었습니다.
    • 유출된 연료가 불꽃에 점화되며 연쇄 폭발이 일어났습니다.

종합

제주항공 참사는 조류 충돌, 랜딩 기어 오작동, 동체 착륙 판단의 혼란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이 사고는 조종사와 관제탑의 의사소통, 비상 장치의 작동 여부, 초기 구조 대응 등 전반적인 항공 안전 체계의 문제를 드러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